nginx에서 아래 내용 추가

proxy_pass_header  Server;

2023-07-13 내용 추가

배민 회원시스템쪽에서 자세히 설명해두셔서 링크 추가

기타 참고 글들

  • Transactional Outbox pattern with Spring Boot (링크)

Transactonal Outbox Pattern

 

 

테이블 DDL 샘플

----

 

분산트랙잭션을 구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outbox 패턴 방식 메모

 - 많이 쓰는 로컬 RDB를 이용하는 방법이라서 쉽게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음

 

참고 링크

 - https://www.popit.kr/msa%EC%97%90%EC%84%9C-%EB%A9%94%EC%8B%9C%EC%A7%95-%ED%8A%B8%EB%9E%9C%EC%9E%AD%EC%85%98-%EC%B2%98%EB%A6%AC%ED%95%98%EA%B8%B0

 

MSA에서 메시징 트랜잭션 처리하기 | Popit

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통신하는 방식을 메시징 Messaging[1] 이라고 부른다.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비동기 처리 시 보통 카프카 Kafka 나 래빗엠큐 RabbitMQ 같은 메시지 브로커 Message

www.popit.kr

 - https://debezium.io/blog/2019/02/19/reliable-microservices-data-exchange-with-the-outbox-pattern/

 

Reliable Microservices Data Exchange With the Outbox Pattern · Debezium

In order to provide their functionality, microservices will typically have their own local data store. For instance, the order service may use a relational database to persist the information about purchase orders. When a new order is placed, this may resu

debezium.io

 

- https://sarc.io/index.php/cloud/1944-msa-transactional-outbox-pattern

 

MSA - Transactional Outbox Pattern

Tech Note 정보 애리얼 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. 카테고리: [ Cloud Computing & MSA ] 게시됨: 19 May 2020 작성됨: 19 May 2020 최종 변경: 26 May 2020 조회수: 3664 1. 개요 MSA에서는 서비스 간 결합도가 낮아야 하기

sarc.io

 

  1. MongoDB 드라이버를 maven pom.xml에 추가

<!-- MongoDB 드라이버를 maven pom.xml에 추가 -->

<dependency>

<groupId>org.mongodb</groupId>

<artifactId>mongodb-driver-sync</artifactId>

<version>4.0.4</version>

</dependency>

 

  1. MongoDB에 계정 생성 추가 방법

#root 권한으로 계정 생성

use admin;

db.createUser({ user: "ID입력", pwd: "암호입력", roles: [ "root" ] })

 

 

#특정 DB만 엑세스 가능한 계정 생성

use DB명 입력;

db.createUser({ user: "ID입력", pwd: "암호입력", roles: [ "readWrite" ] })

 

 

  1. java 샘플 소스

 

import com.mongodb.Block;

import com.mongodb.MongoClientSettings;

import com.mongodb.MongoCredential;

import com.mongodb.ServerAddress;

import com.mongodb.client.MongoClient;

import com.mongodb.client.MongoClients;

import com.mongodb.connection.ConnectionPoolSettings;

import org.bson.Document;

 

 

import java.util.ArrayList;

import java.util.Arrays;

import java.util.List;

import java.util.concurrent.TimeUnit;

 

 

/**

* 몽고DB java 4.0.4 드라이버 사용시 커넥션 소스 샘플

*  - 몽고DB 4.2에 데이터 저장하는 샘플소스

*  - DB서버는 인증모드와 replica모드가 적용되어 있음

*

* @author 엄승하

*/

public class MongoDBConnectWithAuth {

 

 

   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 

 

      final String dbAddr = "DB서버주소";

 

 

      final String dbName = "DB명입력필요";

      final String user = "ID입력필요";

      final String pwd = "암호입력필요";

 

 

      final String colNm = "저장할 컬렉션명 입력 필요";

 

 

      //인증정보

      MongoCredential credential = MongoCredential.createCredential(user, dbName, pwd.toCharArray());

 

 

      //커넥션풀 설정

      Block<ConnectionPoolSettings.Builder> poolSetting = builder -> builder.maxWaitTime(4, TimeUnit.SECONDS).maxConnectionIdleTime(10000,

         TimeUnit.SECONDS).maxConnectionLifeTime(58, TimeUnit.SECONDS);

 

 

      //클러스터 또는 replica 설정

      List<ServerAddress> serverList = Arrays.asList(new ServerAddress(dbAddr, 27017));

      Block<com.mongodb.connection.ClusterSettings.Builder> clusterSettings = builder -> builder.hosts(serverList);

 

 

      //mongo와 실제 커넥션 생성(mongo client생성)

      MongoClient mongoClient = MongoClients.create(

         MongoClientSettings.builder().credential(credential).applyToConnectionPoolSettings(poolSetting).applyToClusterSettings(clusterSettings).build());

 

 

      int docsCnt = 10000;

      List<Document> docs = new ArrayList<>(docsCnt);

 

 

      for (int i = 1; i <= docsCnt; i++) {

         Document doc = new Document();

         doc.put("doc_id", i);

         doc.put("dt_ms", System.currentTimeMillis());

 

 

         docs.add(doc);

      }

 

 

      mongoClient.getDatabase(dbName).getCollection(colNm).insertMany(docs); //bulk insert

      mongoClient.close(); //자원 반환

   }

}

 

 

  1. 결과

    1.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저장됨을 확인 가능

 

 

www.eversql.com

'DB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웹에서 ERD 그릴수 있는 툴(무료)  (0) 2017.05.25

import org.apache.commons.validator.routines.InetAddressValidator;

위 import 후에 아래 소스

String decodedIp = URLDecoder.decode(nidIp, "UTF-8"); //IPV6의 경우 인코딩되어서 들어옴
if (InetAddressValidator.getInstance().isValid(decodedIp) == false) {
return null;
}

 

 

/**

* private key 내용을 얻어옴

* - -----BEGIN PRIVATE KEY----- 또는 -----END PRIVATE KEY----- 와 같은 가이드라인 줄은 제외하고 실제 사용하는 부분만 파일에서 가져옴

*

* @param privateKeyFile

* @return

*/

private String getPrivateKeyBody(MultipartFile privateKeyFile) {

 

try (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privateKeyFile.getInputStream()))) {

 

String line;
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
while ((line = br.readLine()) != null) {

if (line.contains("PRIVATE KEY")) { //guard line은 pass

continue;

}

sb.append(line);

}

 

return sb.toString();

 

} catch (Exception e) {

log.error(e.getMessage(), e);

throw new RuntimeException(e.getMessage(), e);

}

}

 

 

 
후배의 원래글
 
 
1) 임시 폴더 생성 후 생성된 폴더로 이동
$ mkdir temp $ cd temp
2) 이동해야할 repository를 임시 폴더 하위에 clone파일을 생성
$ git clone --bare https://github.com/exampleuser/old-repository.git
3) 생성된 clone 폴더로 이동
$ cd old-repository.git
4) 신규 repository에 push
$ git push --mirror https://github.com/exampleuser/new-repository.git
 

백엔드 API를 많이 개발하다보니 postman을 많이 사용합니다.

그런데 얼마전에 HTTP/2로 개발하는데(최신 애플서버 API나 IOT, 내부 성능 요하는 쪽 등에서 HTTP/2를 많이 사용 중) postman으로는 정상 작동 안하더군요.

 

그래서 postman git쪽 이슈를 찾아보니 개선 요청이 있더군요.

웃긴게 해당 이슈에 +1 댓글놀이(?)가 생겼습니다. ㅎㅎ

해결해줄 것 같지 않아서 일단 크롬 확장 프로그램 툴 중에 괜찮은 것 같아서 바꿧고요

 

'개발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op 35 Git Commands With Examples  (0) 2021.08.24
putty세션 색깔 변경  (0) 2020.01.21

+ Recent posts